이 글은 제로베이스 UIUX 강의를 참고하여 정리한 글입니다. 오타나,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언제든지 알려주세요! 감사합니다.😊
퍼소나 Persona
- 우리 제품에 대한 일반적인 혹은 타겟 유저에 대한 정의
- 페르소나라고 많이도 부름
- 사람마다 사용자의 의미가 다르게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정의가 필요함
퍼소나가 만들어지는 과정
- 일반적으로 퍼소나는 사용자 조사를 수행하고 나서 만듦
- 사용자 조사를 실시하고 퍼소나를 완성시켜야 신뢰성을 가질 수 있음
- 디자인 컨셉이 왜 중요할까? 사용자의 범위를 지정 가능
퍼소나 = 대표사용자
- 우리의 사용자가 누구인지 정의 할 수 있다.
혹여 대상 사용자가 ‘전체’라 하더라도 우선순위(Primary user)는 반드시 존재한다. - 선택과 집중의 기준이 된다.
모든 사용자의 모든 니즈를 만족하는 mega service란 없다. - 디자인 의사결정과 커뮤니케이션에 유용하다.
’왜’이러한 디자인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된다. - 사용자의 마음과 시선에서 생각할 수 있다.
몰입연기 (method acting), 의인화기법 (Stanislavsky method)과 같이 사용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촉매제가 된다.
나는 이미 우리 사용자를 잘 알고있다?
→ 아니다. 사용자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행동하지 않는다. 그러므로 늘 모른다고 생각하고 알아봐야한다.
간단한 퍼소나 예시
퍼소나의 제작과 활용
Step 1. Define a target user type
- 주요 사용 시나리오 유즈케이스를 커버 할 수 있는 ‘대표 퍼소나 타입’을 정한다.
- 각 퍼소나마다의 핵심 니즈를 한 문장으로 작성한다.
예시)
- 서비스 타입: 배달 음식 중계 서비스
- 서비스 사용자 타입: 주문자(User Type A) / 음식점 운영자(User Type B) / 서비스 운영자(Service vendor)
Step 2. Bio
사용자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퍼소나를 이해할 수 있는 기본 정보를 작성한다. (Factual information) 이때 서비스 사용과 관계 없는 정보는 생략할 수 있다.
- 이름, 사진, 나이 등 편견을 가질 수 있거나 무언가 문제가 있다면 대체로 가능함 (주문자 / 다른 사진 / 20~30대 등)
- 연예인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예인 사진을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음
Step 3. Needs and frustrations
퍼소나의 주요 행동 패턴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‘핵심 니즈’와 ‘불편해 하는 것’을 작성한다.
Step 4. Repeated or missing fact check
중복되어 작성되었거나, 사용자의 행동특성 중 누락된 내용이 없는지 확인한다.
Step 5. Add personality
개인 선호도, 기술 사용 능력 등 개인의 특성이 표현되는 정보를 추가한다.
Step 6. Additional info
사용자 연상에 도움이 되는 예시 이미지나 우선순위는 낮으나 참고가 될 수 있는 정보 등을 추가한다.
Branching: 퍼소나의 세분화
퍼소나의 활용
→ 위는 가설이지만 가장 아래 사람이 퍼소나를 통한 의사결정이다.
→ 정답이 될 수는 없지만 신뢰성이 높아지므로 활용하기 좋다.
'UI UX > 기초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초/이론] 디자인 평가 및 테스트 (0) | 2023.07.08 |
---|---|
[기초/이론] 인터랙션 디자인 (0) | 2023.07.07 |
[기초/이론] 사용자 여정 지도, 테스크 플로우, 스토리 맵 (0) | 2023.07.05 |
[기초/이론] 사용자 조사 (0) | 2023.07.04 |
[기초/이론] UX 디자인의 기본개념 (0) | 2023.07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