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성 테스트 (Usability Test)
사용자에게 특정 과업을 수행하도록 과제(Task)를 부여한 뒤 그 일을 진행하는 과정(행동)을 관찰하는 방법
- 의도한 서비스 시나리오대로 유저가 행동하는지 아닌지 알 수 있음
- 필수적인 컨트롤 요소를 인지/이해/예측/실행 하는지 알 수 있음
- 이외의 다양한 컨트롤 요소를 인지/이해/예측/실행 하는지 알 수 있음
사용성 평가 (Usability Test) ≠ 유저 테스트 (User Test)
사용성 평가는 우리의 제품을 평가하는 것이지 사용자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.
- 사용자가 OOO(기능)을 통해 XXX(다음 단계 진행)을 할 수 있는가? 할 수 없다면 문제점은 무엇인가?
- 고객(User)이 우리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구조와 기능을 의도한 대로 인지 / 이해 / 예측 / 실행 할 수 있는가?
- 인지 :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/발견 하였는가
- 이해 : 사용자가 무엇이라고, 또는 어떤 의미로 이해하였는가
- 예측 : 무엇을 하는 기능인지, 또는 다음 화면을 어떻게 예상하였는가
- 실행 : 예측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 or 일치하지 않는 부분
회사에서의 리서치 진행 프로세스
사용성 테스트의 일반적 과정
- 참여자를 모집한다.
- 우리의 서비스를 사용해 보도록 한다.
- 진행자는 참여자가 길을 잃지 않도록 안내한다.
- 참관자들은 고객의 행동을 관찰한다.
- UT가 끝나면 도출된 이슈에 대해 브리핑한다.
- 빠르게 개선한다.
- 반복한다.
꼭 정석적인 사용성 테스트를 할 필요는 없다
- UT는 정성적 테스트이며, 무언가를 증명하는 것이 아니다.
- 애자일 테스트에서는,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절차의 변경이 가능하다.
- 기본적으로 진행자(moderator)는 참여자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도록 유도한다.
사용성 테스트는 누구나 해도 된다
- 모든 프로덕트에는 문제가 있고, 누가 사용성 테스트를 하던지 간에 심각한 문제는 쉽게 발견된다.
- 다만 프로덕트의 사용성 문제는 그 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은 스스로 발견하기 어렵다(이미 어떻게 작동하거나, 작동 될지 알기 때문에)
- 때문에 우리의 프로덕트와 관련이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용성 테스트를 해야 한다.
그런데 왜 안하는가?
-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성 테스트 경험이 없으며, 때문에 중요성을 모른다.
- 시간이 부족하다거나, 우선 만들어놓고 나중에 수정하자고 하거나, 완성되지 않은 결과물이라며 보여주기를 꺼려한다거나 한다. 이 것은 분명 잘못된 것이다.
큰 규모의 프로젝트와 애자일 프로젝트에서의 사용성 테스트 비교
사용성 테스트 참여자는 몇 명을 모집해야 할까?
3명이면 충분하다. 사용자 테스트 수가 늘어날 수록 문제를 찾는 것이 100%에 수렴하지만 완만한 곡선이다. 3명으로만으로도 75%의 문제를 찾을 수 있다. → 즉, 3명의 테스트를 여러번 하는게 더 효율적이다.
Online UT vs Offline UT
기존의 리서치 방식은 참여자를 초청하여 Off-line에서 대면(Contact) 형태로 진행
- 장점 : 참여자의 표정과 행동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.
- 단점 : 참여자 리크루팅 소요시간이 길고, 오프라인 특성상 비용이 크다
On-line UT는 Off-line의 단점을 일부 보완하여 비대면(Untact) 형태로 진행이 가능
스티브 크룩의 사용성 원칙 TOP 3
- 제 1법칙 : 사용자를 고민에 빠뜨리지 마라! 모든 페이지는 쉽고 분명해야 한다. 사용자는 작동방식까지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. 적당히 임기응변한다.
- 제 2법칙 : 고민없는 명쾌한 클릭이라면 클릭 수는 중요하지 않다. 고민없는 세번의 클릭이 심사숙고 해야하는 한 번의 클릭보다 낫다. 사용자는 최선의 선택을 하지 않는다. 최소 조건만 충족되면 만족한다.
- 제 3법칙 : 불필요한 단어는 삭제하라. 쓸데없는 말을 줄이고 본론부터 얘기해라. 사용자는 페이지를 읽지않고 훑어본다.
'UI UX > 기초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초/이론] 사용성 테스트 수행하기 (0) | 2023.07.14 |
---|---|
[기초/이론] (프로토) 퍼소나 (0) | 2023.07.12 |
[기초/이론] 사용자와 리서치 방법론 (0) | 2023.07.11 |
[기초/이론] UX & UX Researcher (1) | 2023.07.10 |
[기초/이론] UX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기본 개념 (0) | 2023.07.09 |